분류 전체보기 13

사진의 좋은 제목 정하기

촬영자의 시선을 반영하는 좋은 제목은 곧 주제와 연결되어, 감상자들이 쉽게 자신의 사진과 교감할 수 있게 해주는 소중한 수단이 됩니다. 따라서 블로그 갤러리, 카페 등에 사진을 포스팅할 때 형식적으로 넣는 제목보다 사진의 느낌이 감상자들에게 잘 전달되도록 센스 있는 제목을 만들어야 합니다. 사진의 제목은 보는 이들이 쉽게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 사진에 비해 너무 거창하거나 어려워 자신만 알 수 있는 제목은 오히려 사진을 외멶게 만듭니다. 보는 이들로 하여금 감상과 판단의 폭을 줄여주면서,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제목을 만들어 봅니다. 재미있는 상상력을 이끌어 내는 제목의 역할 제목은 사진을 설명하는 역할 외에도 감상자들로 하여금 사진에 대한 상상력을 이끌어 내는 역할도 합니다. 창의적인 제목에 대한 부담감..

카테고리 없음 2020.03.29

카메라 외장 스피드 라이트를 쉽게 사용하는 법

스피드 라이트(Speed Light)란, 인공의 빛을 발광하는 카메라의 보조 조명 장치로, 스트로보, 스트로브, 플래시 등 명칭도 다양합니다. 보통 크게 카메라에 내장된 내장 스피드 라이트와 별도로 장착할 수 있는 외장 스피드 라이트로 나우어지며, 내장 스피드 라이트보다 외장 스피드 라이트가 더욱 많은 기능과 더 밝은 광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피드 라이트는 발광부가 돌아감으로써 빛의 발괄 각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바운스 촬영이 가능합니다. 또한 오토 줌과 매뉴얼 줌 기능을 이용해 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빛이 발광하는 조사각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외장 스피드 라이트의 기본 메커니즘 1. 발강부의 회전과 줌(Zoom) 기능 외장 스피드 라이트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은 바로 '발광부의 회전..

카테고리 없음 2020.03.27

카메라 렌즈의 종류를 알아보자

렌즈는 줌(zoom) 기능을 이용해 초점거리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줌 렌즈'와 한 가지 초점 거리만 지원하는 '단 렌즈'로 나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줌 렌즈는 화각에 변화를 줄 때마다 조리개값이 변하는 '가변 조리개 렌즈'와 변하지 않는 '고정 조리개 렌즈'로 나뉩니다. 초점 거리 및 조리개값의 변화 여부로 구분해보는 렌즈의 종류 1. 줌 렌즈와 단 렌즈(단초점 렌즈) 줌(zoom) 렌즈란 줌 링을 돌려 다양한 초점거리로 촬영할 수 있는 렌즈 입니다. 단 렌즈(단초첨렌즈)는 한 가지 초점거리만 지원하는 렌즈를 말합니다. 화질은 단 렌즈가 대체적으로 우수하며, 조리개의 개방값이 낮아 빛이 적은 곳에서도 빠른 셔터포인트와 아웃포커싱에 유리한 장점이 있는 반면, 줌 기능이 없어서 필요한 화각을 위해 촬영자..

사진촬영법 2020.03.24

카메라의 눈, 렌즈

보통 DSLR 카메라나 미러리스 카메라처럼 렌즈를 교환하는 카메라들을 구입할 때에는 보디와 함께 렌즈를 1개 정도 더 구입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후로 주변의 추천이나 다른 사람들의 사진을 보면서 '나도 저렿게 촬영할 수 있을까?'라는 의구심과 함께 또 다른 렌즈를 알아보게 됩니다. 그런데 처음에는 통상 렌즈를 부르는 명칭과 종류가 너무 다양해서 나에게 필요한 렌즈를 고르기가 쉽지 않습니다. 자신에게 필요한 렌즈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는 렌즈의 기초 지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렌즈는 사람의 눈처럼 정교하게 작동하며 사진의 선명도와 화각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본적인 것들은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또한 화각을 결정해주는 초점거리에 대해 알아둔다면 렌즈의 구매나 촬영 시 자신에게 필요한 렌즈를 효과..

사진촬영법 2020.03.18

카메라의 노출을 보정해 사진을 촬영해보자

카메라가 자동 혹은 반자동으로 노출을 결정해주는 P, A, S 모드로 촬영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진이 너무 밝거나 어둡게 나오느 경우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카메라의 자동 노출 기능이 실제 밝기를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 때에는 카메라의 적정 노출인 '0'에 의존하지 말고 촬영자 스스로 노출 언더나 오버로 노출 보정을 해야 원하는 노출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앵글을 바꿔 여러 장을 촬영할 때 자동이나 반자동 모드에서 앵글에 따라 사진의 노출이 제각각이라면 노출 고정 기능을 통해 노출의 변활ㄹ 막아야 합니다. 또한 노출에 확신이 없을 때에는 브래킷팅 기능을 이용해 여러 장을 촬영한 후 나중에 좋은 사진을 고르는 방법도 있습니다. 사람의 눈은 어두운 것은 어둡게, 밝은 것은 밝게 인식합니다. 그러나..

사진촬영법 2020.03.18

사진의 분할구도와 여러 구도들

분할 구도란, 프레임을 나눈 분할선과 분할선의 교차점인 교점에 피사체나 풍경의 라인을 배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분할선이나 교점은 피사체와 프레임 사이에 공간을 할당할 때 매우 유용한 참고 기준이 되지만, 정확하게 딱 맞춰야 하는 법칙은 아닙니다. 어디까지나 보기 편안한 한도를 결정지어주는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는 것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1. 가장 편안한 감상을 유도하는 3분할 구도 3분할 구도는 '황금비율'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가장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사진 분야에서 두루 사용됩니다. 사진에서는 뷰파인더의 가로와 세로를 각각 3등분한 분할선 중 우측 분할선에 주인공을 배치하는 경우입니다. 다음의 풍경 사진에서는 분할선을 이용해 하늘을 1/3, 지면을 2/3으로 배분하고, 피사체는 ..

사진촬영법 2020.03.15

찍기 편한 사진보다 보기 편한 사진을 위한 구도

구도란, 피사체를 비롯해 지평선, 수평선, 길, 산등성이 같은 라인들을 프레임 안에 보기 편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무리 노출을 잘 맞추더라도 이러한 프레임 속에 구성되는 요소들이 보기 불편하게 배치되어 있다면 좋은 사진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보기 편안한 사진을 위해 구도에 신경을 써야하 하는데, 앞으로 알아보게 될 구도들은 반드시 자로 잰 듯 정확히 지켜야하는 원칙이라기보다는 편안한 사진을 위한 참고 기준이라고 생각하변 됩니다. 제 아무리 구도가 좋아도 배경 선택이 잘못되면 피사체가 배경 속에 파묻히거나 의도하지 않은 사진이 되어버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도 설정 이전에 어떤 배경이 주인공과 잘 어울리는지 관찰해야 합니다. 복잡한 배그냥 서서만 촬영경은 피하자 복잡한 배경 선택으로 주인..

사진촬영법 2020.03.14

Jpeg파일과 Raw파일 선택 요령

Jpeg 파일과 Raw 파일의 차이는 바로 '압축하여 용량이 작지만 화질이 좋은 사진'과 '압축을 거의 하지 않아 용량이 큰 원본 사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카메라에서는 크게 이 두 가지 파일 형식을 선택할 수 있는데, 각 특성과 선택 요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용량치고는 괜찮은 화질을 보여주는 카메라의 기본값 Jpeg파일 Jpeg는 높아지는 모니터 해상도만큼 점점 커지는 비트맵 이미지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 '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이 제안한 이미지 규격입니다. Jpeg는 용량을 줄이기 위해 사진을 여러 개의 작은 블록으로 나누고, 각 블록 안에 있는 비슷한 정보의 픽셀들을 하나의 통합 및 압축합니다. 이러한 Jpeg 파일의 확장자는 *Jpeg, ..

사진촬영법 2020.03.13

카메라 ISO 감도 조절의 두가지 방법, 수동과 자동

노출의 세 가지 요소 중 조리개값과 셔터스피드의 조절은 노출 모드 다이얼에서 선택할 수 있지만, 나머지 한 요소인 ISO감도는 별도의 메뉴를 통해 설정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ISO 감도는 높아질수록 노이즈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조리개값과 셔터스피드만으로 원하는 노출을 얻을 수 없다면 ISO 감도를 높여 노출을 보충해야 합니다. ISO감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수동으로 필요한 만큼 조절하거나 자동으로 설정합니다. 자동설정은 '최대 ISO 범위'처럼 카메라가 자동으로 사용할 감도의 한계값을 결정해주어야 합니다. 지나치게 높게 설정할 경우 불필요한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카메라의 상황별 '상용 감도'를 기준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셔터스피드 부족으로 사진이 흔..

사진촬영법 2020.03.11

S모드, M모드를 활용한 사진 촬영

S 모드는 일정한 셔터스피드를 유지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즉, A 모드와 반대로 촬영자가 설정한 셔터스피드는 일정한 반면, 어두운 조리개값이 낮아지고 밝으면 조리개값이 높아집니다. 빠른 셔터스피드는 주인공의 동작을 정지시킨 듯 촬영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느린 셔터스피드는 움직임의 과정을 보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셔터스피드를 제어하는 목적인 핸드블러와 모션블러란 무엇인가? 핸드블러(Hand Blur)는 사진 전체가 흔들린 경우를 말합니다. 흔들리는 주된 원인은 셔터스피드의 부족이나 촬영자의 흔들림입니다. 모션블러(Motion Blur)는 촬영자는 흔들리지 않았지만 피사체의 움직임보다 느린 셔터스피드로 촬영했을 때 생기는 피사체의 잔상을 말합니다. 셔터스피드를 조절하는 목적은 이러한 핸드블러..

사진촬영법 2020.03.10